중국: 제조업 강국 부상과 '중국제조 2025'의 현실화

'중국제조 2025' 전략 개요

  • '중국제조 2025'는 2015년 중국 정부가 발표한 국가 주도 산업정책으로, 독일의 '산업 4.0'을 벤치마킹해 전통적인 제조업을 첨단기술과 결합, 제조업 대국에서 '제조업 강국'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

  • 이 전략은 10대 핵심 산업(차세대 정보기술, 로봇, 항공우주, 해양공학, 고속철도, 신에너지차, 친환경 전력, 농업기계, 신소재, 바이오·의료기기)을 집중 육성해 2025년까지 핵심 기술 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율을 70%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습니다



주요 성과와 현황

  • 2025년 현재 '중국제조 2025'의 10년 성적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 260개 이상의 정량적 지표 중 86% 이상이 달성됐으며, 전기차(BYD), 배터리(CATL), 태양광, 5G 통신(화웨이), 드론(DJI), 고속철도 등 첨단 분야에서 세계 1위 기업이 등장했습니다

  • 중국은 과거 미국·유럽·일본에 의존하던 첨단기술과 부품, 소재의 국산화에 성공적으로 접근하면서, 글로벌 제조업 패권 경쟁에서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거나 일부 분야에서는 앞서 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

  • 특히, 미국은 '중국제조 2025'를 자국 첨단산업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해 무역제재와 기술봉쇄를 강화해왔으나, 중국은 정부 주도의 막대한 투자와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기술 자립을 가속화해왔습니다



글로벌 경쟁 심화

  • 중국의 제조업 질적 도약은 미국, 유럽, 일본 등 기존 제조업 강국과의 경쟁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습니다. 미중 무역전쟁의 근본 배경에도 '중국제조 2025'와 같은 공격적 산업정책이 자리하고 있습니다

  • 중국은 이미 2025년 이후를 겨냥해 '고품질 발전'과 '새로운 질적 생산력'을 강조하며 2035년을 목표로 한 차세대 전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



요약

  • '중국제조 2025'는 중국이 제조업 강국으로 부상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으며, 첨단기술 국산화와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 패권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

 

댓글 쓰기

0 댓글

태그

이미지alt태그 입력